본문 바로가기
복지정보

기존주택 일반 저소득층, 신혼부부, 청년 등 매입/전세임대주택 지원

by 진부령편지 2021. 9. 3.
728x90
반응형

기존주택 일반 저소득층·신혼부부·청년 등 매입임대주택 지원
1. 대상
대상별 가구소득 및 자산이 일정 기준 이하이며 세부 기준을 만족하는 사람

구분 지원대상 소득 및 자산 기준
일반 저소득층
매입임대
생계급여·의료급여 수급자,
한부모가족 등 무주택세대구성원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50% 이하
총자산 2억 1,500만 원 이하, 자동차 2,497만 원 이하
청년
매입임대
무주택자인 청년
(대학생, 취업준비생, 만19세~39세)
자격 순위별 소득 및 자산 기준 상이
(LH 및 지방도시공사 공고문 참조)
신혼부부
매입임대Ⅰ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
신혼부부(결혼 7년 이내), 예비신혼부부, 유자녀 가구(6세 이하 자녀)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80%(맞벌이 100%) 이하
총자산 2억 9,200만 원 이하, 자동차 2,497만 원 이하
신혼부부
매입임대Ⅱ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
신혼부부(결혼 7년 이내), 예비신혼부부, 유자녀 가구(6세 이하 자녀), 혼인가구
자격 순위별 소득 및 자산 기준 상이
(LH 및 지방도시공사 공고문 참조)
다자녀
매입임대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 2명 이상의 미성년 직계비속을 양육하는 가구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70% 이하
총자산 2억 9,200만 원 이하, 자동차 2,497만 원 이하
고령자형
매입임대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만 65세 이상 고령자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50% 이하 총자산 2억 1,500만 원, 자동차 2,497만 원 이하
※ 2021년 전년도 도시근로자가구 가구원수별 월평균소득 기준(3인) :
50% 312만 260원, 70% 436만 8,364원, 90% 561만 6,468원, 100% 624만 520원, 120% 748만 8,624원

2. 내용
매입임대사업주택 : 다가구주택·다세대·연립주택, 아파트 등을 LH 또는 지역별 지방도시공사에서
매입하여 저렴하게 임대

매입임대 지원내용

3. 방법
· 기초생활수급자 :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신청
· 주거취약계층(쪽방 등 비주택 거주자) :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지방검찰청(범죄 피해자에 한함), LH를 통해 신청
· 청년, 신혼부부, 다자녀 : LH 청약센터(apply.lh.or.kr)
4. 문의
시군구청, 지방도시공사(SH ☎1600-3456, 경기도시공사 ☎1588-0466 등), LH마이홈(☎1600-1004)

기존주택 일반 저소득층·신혼부부·청년 등 전세임대 지원
1. 대상
대상별 가구소득 및 자산이 일정 기준 이하이며 세부 기준을 만족하는 자

구분 지원대상 소득 및 자산 기준
일반 저소득층
전세임대
생계급여·의료급여 수급자,
한부모가족 등 무주택세대구성원
자격 순위별 소득 및 자산 기준 상이
(LH 및 지방도시공사 공고문 참조)
청년 전세임대 무주택자인 청년
(대학생, 취업준비생, 만19세~39세)
자격 순위별 소득 및 자산 기준 상이
(LH 및 지방도시공사 공고문 참조)
신혼부부
전세임대Ⅰ
무주택 세대구성원으로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 또는 예비부부 및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한부모가족·혼인가구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70%(맞벌이 90%) 이하
총자산 2억 9,200만 원, 자동차 2,497만 원 이하
신혼부부
전세임대Ⅱ
무주택 세대구성원으로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 또는 예비부부 및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한부모가족·혼인가구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100%(맞벌이 120%) 이하
총자산 2억 9,200만 원, 자동차 2,497만 원 이하
다자녀
전세임대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 2명 이상의 미성년자녀를 양육하는 가구 (1순위) 수급자 또는 차상위 계층
(2순위)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70%이하
총자산 2억 9,200만 원, 자동차 2,497만 원 이하
소년소녀가정 등
전세임대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
소년소녀가정, 대리양육가정, 친인척위탁, 일반가정위탁, 아동복지시설퇴소자, 교통사고유자가정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00% 이하
※ 2021년 전년도 도시근로자가구 가구원수별 월평균소득 기준(3인) :
50% 312만 260원, 70% 436만 8,364원, 90% 561만 6,468원, 100% 624만 520원, 120% 748만 8,624원

2. 지원가능 주택
· 당첨자가 신청한 지역(특별시, 광역시, 도(道)지역)에서의 전용면적 85㎡(1인 가구 60㎡) 이하 주택(단독, 다가구, 다세대, 연립, 아파트 및 주거용 오피스텔)으로서 “전세” 또는 “보증부월세”로 계약 가능한 주택
※ 미성년 3자녀 이상 가구 및 가구원수가 5인 이상인 경우 85㎡ 초과 가능
3. 내용
· 입주대상자가 희망 주택을 선정하면 LH 또는 지역별 지방도시공사가 집주인과 전세계약 후 입주대상자에게 저렴하게 임대

구분 지원내용
일반 저소득층
전세임대
수도권 최대 1억 1,000만 원, 광역시 최대 8,000만 원,
그 외 지역 최대 6,000만 원 지원
청년
전세임대
수도권 최대 1억 2,000만 원, 광역시 최대 9,500만 원,
그 외 지역 최대 8,500만 원 지원
- 임대보증금 : 100만 원(1·2순위), 200만 원(3순위)
- 월임대료 : 전세금에서 임대보증금을 제외한 금액의 연 1~2% 이자 상당액만을 월임대료로 납부
- 지원한도액을 초과하는 전세주택은 초과 전세금액을 입주자가 부담할 경우 지원 가능
신혼부부
전세임대Ⅰ
수도권 최대 1억 3,500만 원, 광역시 최대 1억 원,
그 외 지역 최대 8,500만 원 지원
- 임대보증금 : 전세금의 5%(LH, 지방도시공사 95% 지원)
- 월임대료 : 전세금에서 임대보증금을 제외한 금액의 연 1~2% 이자 상당액만을 월임대료로 납부
신혼부부
전세임대Ⅱ
수도권 최대 2억 4,000만 원, 광역시 1억 6,000만 원,
그 외 지역 1억 3,000만 원
- 임대보증금 : 전세금의 20%
- 월임대료 : 전세금에서 임대보증금을 제외한 금액의 연 1~2% 이자 상당액만을 월임대료로 납부
다자녀
전세임대
수도권 최대 1억 3,500만 원, 광역시 최대 1억 원,
그 외 지역 최대 8,500만 원 지원
- 임대보증금 : 전세금의 2%(LH, 지방도시공사 98% 지원)
- 미성년 2자녀를 초과한 자녀수에 따라 0.2억원씩 대출한도 상향
소년소녀가정 등
전세임대
만20세 이하 또는 보호기간인 경우 무이자, 자립지원기간(보호종결 후 5년 이내)에는 대출이율 50% 감면, 자립지원기간 초과시 기존주택 전세임대 대출이율 적용(2년 단위 3회 계약 가능)
※ 지원기간 종료된 경우 기존주택 전세임대 유형 자격 요건 충족 시 해당 유형으로 변경하여 계속 지원 가능

4. 방법
· 일반 저소득층, 소년소녀가정 등 전세임대 :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신청
· 청년, 신혼부부, 다자녀 전세임대 : LH 청약센터(apply.lh.or.kr)
5. 문의
·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 LH마이홈(☎1600-1004)
· 지방도시공사





반응형

'복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바우처  (0) 2021.09.04
주거환경개선 지원  (0) 2021.09.04
행복주택 공급  (0) 2021.09.03
임대주택 공급  (0) 2021.09.03
긴급복지 지원제도  (0) 2021.09.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