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장애인연금
1. 대상
만 18세 이상의 장애인연금법상 중증장애인(종전 1급, 2급, 3급 중복) 중 본인과 배우자의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단독가구 169만 원, 부부가구 270만 4,000원) 이하에 해당하는 자
2. 내용
근로 능력 감소로 소득이 미미하고, 장애로 인한 추가 지출 비용으로 생활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에게 장애인연금(기초급여, 부가급여) 지원
(2021년 기준, 월지급액) | ||
구분 | 만 18세 ~ 64세 | 만 65세 이상** |
생계급여·의료급여수급자 | 38만 원 · 기초급여 30만 원 · 부가급여 8만 원 |
38만 원 · 부가급여 38만 원 |
주거급여·교육급여수급자, 차상위계층* |
최고 37만 원 · 기초급여 30만 원 · 부가급여 7만 원 |
7만 원 · 부가급여 7만 원 |
차상위 초과 | 최고 32만 원 · 기초급여 30만 원 · 부가급여 2만 원 |
4만 원 · 부가급여 4만 원 |
* 차상위계층 : 2021년 기준 중위소득 50%(4인 기준 243만 8,145원) 이하 ** 만 65세 이상 시에는 장애인연금 기초급여 대신 기초연금으로 전환(별도신청 필요) |
3. 방법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신청 ⇨ 시군구 통합관리팀 조사 ⇨ 보장결정 ⇨ 급여지급(매월)
4. 문의
·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복지로-장애인연금(www.bokjiro.go.kr/pension)
자주 하는 질문 기초급여와 부가급여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기초급여 : 근로능력의 상실 또는 현저한 감소로 줄어드는 소득을 보전해주기 위해 지급하는 급여로 소득보장 성격의 급여입니다. - 부가급여 : 장애로 인해 추가로 드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전해주기 위해 지급하는 급여로 추가 지출비용 보전성격의 급여입니다. 장애정도 재심사를 반드시 받아야 하나요? - 재심사 면제대상*을 제외하고 장애인연금을 신청하시는 분은 장애정도 재심사를 받아야 합니다. * 재심사 면제대상 · 종전 장애수당 수급 중증장애인(특례대상자) · 신청일이 속한 월 당시 65세 이상 · 2017.4.1. 이후 국민연금공단(장애심사센터)에서 장애정도 심사를 받아 현재의 장애정도를 받은 경우 장애정도 재심사를 위한 검사비용을 지원해주나요?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에게는 최대 10만 원 범위 내 검사비용을 지원합니다. |
반응형
'복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아동수당 신청 (0) | 2021.11.25 |
---|---|
장애인 등록신청, 장애인 서비스지원 종합 조사 신청 (0) | 2021.11.25 |
장애수당(기초생활수급유지) (0) | 2021.11.25 |
노인을 위한 각종 요금감면제도 (2) | 2021.10.09 |
노인 안과치료 지원, 노인 치과 틀니지원, 노인 치과 임플란트지원, 노인 무릎인공관절 수술 지원 (0) | 2021.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