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플로스팅 순서
1. 예열 : operation on -> Time on -> 열량 3~4 (30분간 예열, 230도 이상으로 충분히 예열되도록 한다. 온도가 너무 빨리 올라가면 열량을 줄인다.)
2. 230℃에 이르면 히터 off-> 온도가 220℃에 이르면 다시 on -> 230℃ 생두 120g 투입하고 열량을 7로 맞춘다.
3. 열량 조절 없이 1차 크랙까지 로스팅한다.
4. 1차 크랙 후 1분 10초(온도 상승이 빠를 경우 1분)에 배출한다.
* 연속배치를 할 때는 로스팅이 끝나면 열량을 끄고 기다렸다가 220℃에 다시 열량을 on하여 230℃에 투입한다.
샘플로스팅의 국제 공통 기준
1. 샘플로스팅이 끝나는 시간은 8분~12분 이내로 한다.
-> 여러 샘플이 있을 때 구간 안에서 동일 분단위 시간대로 로스팅한다.
-> 예) 8’10” / 8’25” / 8’30”/ 8’45” -> ok
-> 예) 9’10” / 8’25” / 9’30”/ 10’45” -> not ok
2. 아크트론수치가 #65~#55 사이여야 한다.
3. 배출타이밍은 1차 크랙 +1’10”(온도상승이 빠를 경우 1분)로 한다.
4. 타거나 덜익으면 안된다. 샘플로스팅은 맛있게 하려고 볶는 것이 아니고 생두가 가지고 있는 맛을 그대로 구현해야 한다.
샘플로스터기로 소량(100g) 로스팅을 해서 판매하고 싶을 때
1. 예열 : operation on -> Time on -> 열량 3~4 (30분간 예열, 230도 이상으로 충분히 예열되도록 한다. 온도가 너무 빨리 올라가면 열량을 줄인다.)
2. 220℃에 이르면 히터 off-> 온도가 210℃에 이르면 다시 on -> 220℃ 생두 120g 투입하고 열량을 7로 맞춘다.
3. 열량 조절 없이 1차 크랙까지 로스팅한다.
4. 1차 크랙 후 1분 10초(온도 상승이 빠를 경우 1분)에 배출한다.(배출은 원하는 포인트로 조정 가능)
'커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철 프로스터 5kg 로스터기 프로파일 조정 (0) | 2023.06.15 |
---|---|
스트롱홀드 수동로스팅 프로파일 (0) | 2022.05.27 |
나라별 커피 생산시기 (0) | 2022.02.12 |
프로스터 로스팅 프로파일 (0) | 2022.02.12 |
원두 로스팅 제조방법설명서 , 유통기한설정사유서 (0) | 2022.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