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집 마련 디딤돌대출(주택구입 시)
1. 대상
부부합산 연소득이 6,000만 원(생애최초, 신혼부부, 2자녀 이상 가구 7,000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3억 9,400만 원 이하 무주택세대주(단독세대주의 경우 만 30세 이상)
2. 내용
· 전용면적 85㎡(읍·면지역 100㎡, 단독세대주 60㎡) 이하로 5억 이하 주택 (단독세대주 3억)의 구입자금을 최대 2억 원(신혼부부 2억 2,000만 원, 2자녀 가구 2억 6,000만 원, 단독세대주 1억 5,000만 원)까지 소득별로 연 1.85~2.40%(주택 최초 구입 신혼부부 1.55%~2.10%) 저금리로 대출
· 상환기간은 10년, 15년, 20년, 30년 이며 거치기간은 1년 또는 비거치
3. 방법
·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우리·KB국민·신한·NH농협·IBK기업은행)에 방문 신청
· 기금e든든(enhuf.molit.go.kr)에서 온라인(모바일) 신청
4. 문의
· 주택도시기금(☎1566-9009, nhuf.molit.go.kr)
·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우리·KB국민·신한·NH농협·IBK기업은행)
· 한국주택금융공사(☎1688-8114, www.hf.go.kr)
보금자리론
1. 대상
부부합산 연소득이 7,000만 원 이하인 만 19세 이상 무주택자 또는 1주택 소유자
2. 내용
주택구입자금을 장기 고정금리로 주택담보가치의 최대 70%, 최대 3억 원까지 대출
3. 방법
한국주택금융공사 누리집에서 신청
4. 문의
한국주택금융공사(☎1688-8114, www.hf.go.kr)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전·월세 보증금 대출 시)
1. 대상
부부합산 연소득이 5,000만 원(신혼부부, 2자녀 이상 가구,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재개발구역 이주자는 6,000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2억 9,200만 원 이하인 만 19세 이상 무주택세대주
2. 내용
전용면적 85㎡(읍·면지역 100㎡)이하로 전세보증금 수도권 3억 원 이하, 지방 2억 원 이하(2자녀 이상 가구 수도권 4억 원, 지방 3억 원 이하) 전세보증금 70% 이내 최대 8,000만 원(수도권 1억 2,000만 원)까지 저금리(연 1.8~2.4%, 신혼부부 1.2~2.1%)로 대출
※ 신혼부부는 보증금 80% 이내 최대 1억 6,000만원(수도권 2억원)
※ 2자녀 이상 가구는 보증금 80% 이내 최대 1억 8,000만원(수도권 2억 2,000만 원)
3. 방법
·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우리·KB국민·IBK기업·신한·NH농협)에 방문 신청
· 기금e든든(enhuf.molit.go.kr)에서 온라인(모바일) 신청
4. 문의
· 주택도시기금(☎1566-9009, nhuf.molit.go.kr)
·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우리·KB국민·신한·NH농협·IBK기업은행)
버팀목 대출 보증
1. 대상
부부합산 연소득이 5,000만 원(신혼가구, 2자녀 이상 가구,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타 지역으로 이주하는 재개발 구역 내 세입자는 6,000만 원) 이하인 만 19세 이상 무주택세대주(단독세대주인 경우에는 만 25세 이상)
2. 내용
· 전세보증금 수도권 3억 원 이하, 지방 2억 원 이하(2자녀 이상 가구 수도권 4억 원, 지방 3억 원 이하) 주택을 대상으로 시중 은행에서 주택도시기금 전세자금 대출 시 대출금의 90%이내에서 보증료 연 0.05~0.22%로 신용보증
· 보증한도는 보증신청인의 개인별 연간소득금액 및 연간부채상환예상액에 따라 다르게 적용
3. 방법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우리·KB국민·IBK기업·신한·NH농협)에 방문 신청
4. 문의
한국주택금융공사(☎1688-8114, www.hf.go.kr)
'복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무조정 (0) | 2021.09.09 |
---|---|
월세대출, 전세금안심대출보증 (0) | 2021.09.09 |
서민금융진흥원 소액보험 및 평생교육바우처 (0) | 2021.09.09 |
스포츠강좌,산림복지서비스 이용권 (0) | 2021.09.09 |
통합문화이용권 (0) | 2021.09.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