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79

행복주택 공급 1. 대상 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만 19세~만 39세 이하 청년(대학생, 청년, (예비)신혼부부·한부모 가족 등)과 고령자·주거급여 수급자 및 행복주택이 공급되는 지역(인근 시군 포함)의 산단 근로자로서 무주택자 또는 무주택구성원* * 신청자격별로 무주택자 또는 무주택구성원 적용이 다름 계층 입주 자격(모집공고일 기준) 일반 사항 소득 및 자산 대학생 미혼인 무주택자로서 · 대학에 재학 중이거나 다음 학기에 입·복학 예정인 사람 · 대학·고등학교를 졸업·중퇴 후 2년 이내인 사람 (소득) 본인·부모 합계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00% 이하 (자산) 본인 총자산 7,200만 원 이하, 자동차 미소유 청년 미혼인 무주택자로서 · 만 19세~39세에 속하는 사람 · 소득이 .. 2021. 9. 3.
임대주택 공급 영구임대주택 공급 1. 대상 생계급여·의료급여 수급자,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한부모가족,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70% (4인 기준 496만 5,944원) 이하의 국가유공자, 북한이탈주민 및 장애인 등 무주택세대 구성원 · 총자산 : 2억 1,500만 원 이하, 자동차 2,497만 원 이하 2. 내용 전용면적 40㎡ 이하 주택을 시중시세의 30% 수준으로 저렴하게 임대(최초 2년 계약, 2년 단위 재계약 가능, 최장 50년 거주 가능) 3. 방법 영구임대 단지가 속해 있는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입주 신청 4. 문의 시군구청, 지방도시공사(SH☎1600-3456, 경기도시공사 ☎1588-0466 등), LH마이홈(☎1600-1004) 국민임대주택 공급 1. 대상 입주자모집 .. 2021. 9. 3.
긴급복지 지원제도 생활에 갑작스러운 위기가 닥쳤을때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으로 생계유지가 어려운 분들에게 생활비, 의료비, 주거비 등을 지원합니다. 긴급복지 지원제도 1. 대상 생계유지가 곤란한 저소득층으로 아래 위기사유와 소득·재산 기준을 충족하는 가구 2. 지원내용 구분 지원내용 지원금액 지원횟수 주 급 여 생계 1개월 생계유지비(식료품비, 의복비 등) 지원 가구원 수에 따른 차등 지급 (4인 기준) 126만 6,900원 최대 6회 의료 각종 검사, 치료 등 의료서비스 지원 (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항목) 300만 원 이내 최대 2회 주거 임시거주 할 수 있는 주거 제공, 주거비용 지원 지역, 가구원 수에 따른 차등 지급 (대도시, 4인 기준) 64만 3,200원 이내 최대 12회 사회복지 시설 이용 사회복지시설 입소 또는.. 2021. 9. 2.
생계를 유지하기가 힘들 때 생계유지가 어려운 분들에게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교육비 등을 지원합니다.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 1. 대상 소득인정액이 급여별 선정기준 이하인 가구로 부양의무자 기준이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 부모(계부모 포함), 자녀(사위, 며느리 포함) 등 부양의무자가 없는 경우 ·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소득과 재산이 적어 부양할 수 없는 경우 · 부양의무자와 가족관계 해체(이혼, 폭력, 학대) 등을 이유로 부양을 거부·기피하여 부양을 받을 수 없다고 인정한 경우 · 부양의무자가 군복무 중, 교도소 수감, 해외이주, 행방불명 등인 경우 ※ 교육급여, 주거급여는 부양의무자 기준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2. 내용 각 가구의 특성이나 처한 상황에 따라 생계비, 의.. 2021. 9. 2.
삶의 여정 얼마 전 여행을 다녀왔습니다. 지난 십 년간 여러 책임과 역할에 묶여 옴짝 달싹 할 수 없었습니다. 인기가 어찌나 많은지 집을 비우고 어딘가를 며칠씩 떠난다는 것은 꿈도 꾸기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저처럼 인기가 솟구치는 몇몇 아낙들이 한 번은 꼭 함께 여행을 가자며 여러 해 동안 모의해 오던 끝에 올해 결실을 보았습니다. 여행을 가는 것은 만만치 않았습니다. 멀리 떨어져 사는 사람들이 한 번도 얼굴을 맞대지 않고 여행 계획을 하자니 어느 것 하나 쉽게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여행을 가서 대부분의 식사는 길거리 혹은 야시장에서 먹었고, 많은 시간을 걷고 지하철역을 찾아다니는데 사용했습니다. 혹시나 하고 가져간 우루사를 다 같이 나눠 먹고는 ‘투약여행’이라고 깔깔대며 지치는 몸을 일으켰습니다. 계획된 범위 안.. 2021. 9. 1.
막싸도라의 커피여행 막싸도라의 커피여행은 까페 감자밭 바로 옆에 위치해 있습니다. 까페 입구에서부터 주인장님의 까페운영 철학이 확실해 보입니다. 이 까페에서 커피 한 잔 테이크아웃 하고 받은 복잡한 이미지를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아무래도 이 가게의 주인장 두 분이 심상치가 않다. 여행 꽤 하신 것 같다. 현지에 가야 구할 수 있는 소품들이 꽤 많다. 커피나무를 키운다. 심지어 커피 열매가 열려있다. 씨앗을 심어서 발아시켜 커피나무 어린 묘목을 팔기까지 한다. 로스팅도 직접 한다. 핸드드립을 잘 내린다. 메뉴판이 현란하다.(이건 내 스타일이 아니다.) 메뉴는 나름 커피의 향미에 따라 이름을 붙이기는 하셨으나 종류가 너무 많아서 주문이 혼란스럽다. 하지만 주인장 부부는 전혀 개의치 않는 분위기다. 커피나무는 영하로 떨어.. 2021. 8.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