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79

꽃보다 엄마 '꽃보다 엄마'는 예능방송 작가로 활동하는 김정미 작가가 환갑을 맞이한 엄마와 여행하는 이야기를 쓴 책이다. 어머니와는 여행하지 못한 아쉬움, 엄마의 폐암수술로 인한 미안함과 놀람, 환갑 기념 등 다양한 여행의 이유들이 있었다. 이 책에서는 제주도에서 평생을 살아 온 엄마에 대한 추억들도 기록이 되어있고, 여행을 하면서 발견한 엄마의 새로운 모습에 대한 김정미 작가의 단상들도 기록되어 있다. 저자는 엄마와 여행을 떠나는 이들에게 이렇게 조언한다. "엄마를 내가 다니는 직장의 상사처럼 생각하는게 좋습니다. 계약을 성사시켜야 하는 거래처 직원이라고 생각하는 것도 좋겠죠? 단 한 번도 자식에게 '갑'이 되어본 적 없는 엄마를 딱 한 번만 '갑'으로 모셔보는 거예요." 맞다. 엄마는 진정한 갑이 되어본 적이 없.. 2021. 9. 5.
완벽한 아이를 읽고 '무엇으로도 가둘 수 없었던 소녀의 이야기' 모드 쥘리앵 본인의 경험을 기술한 '완벽한 아이'를 읽어 보았습니다. 부유한 아버지와 교육학을 전공한 어머니 밑에서 자랐지만 15년간 감금상태로 학대를 겪으며 자란 자신의 삶을 아주 담담하고도 건조하게 기술하고 있는 책이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아래와 같은 몇가지 이야기에서는 그만 읽고 싶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 지하실 감금 - 음악선생의 폭행(따귀를 때린다던지 하는..) - 성폭행 사건과 이를 못 본척하고 문을 닫는 어머니 - 말을 안심시키도록 한 후 살육하는 장면 주인공은 세 살부터 성과 같은 집에 감금된 채로 아버지의 학대를 견디며 살아야 했습니다. 주인공의 어머니도 어린 시절 남편에게(주인공의 아버지) 팔려와 좋은 교육을 받으며 주인공을 낳아 기르.. 2021. 9. 5.
고성 피움테마파크 방문기 고성에 문을 연 피움테마파크에 다녀왔습니다. 사실 두어달 전에도 한 번 다녀왔는데 워낙 넓기도 하거니와 미술관 문이 닫혀았어 개별 작가의 작업공간 전시만 보고 주변 산책을 하다가 돌아 왔습니다. 하지만 오늘은 프로그램 참여도 하고 미술관 관람도 했습니다. 개별작가들의 작업공간은 문이 열려 있으면 관람할 수 있습니다. 까페에서 간단한 음료를 마시며 쉴 수도 있고 간혹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까페는 통유리로 되어있어 내부에 앉아있어도 자연 속에 있는 느낌이 듭니다. 미술관은 소조와 회화 작품들이 있었습니다. 소조는 인간의 형상을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는데 힘과 역동성이 느껴지는 인간상을 거친 느낌으로 표현한 작품부터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피에타까지 모두 한 작가의 작품이었습니다. 프로그램이 있어 관람.. 2021. 9. 4.
에너지바우처 에너지바우처 1. 대상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생계·의료급여 수급 가구 중 노인, 영유아, 장애인, 임산부, 중증질환자, 희귀질환자, 중증난치질환자,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정(가정위탁보호아동 포함)이 포함된 가구 노인 장애인 영유아 임산부 중증질환자, 희귀질환자, 중증난치질환자 1956.12.31 이전 출생자 등록장애인 2016.1.1 이후 출생자 임신 중이거나 분만 후 6개월 미만인 여성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 [별표3], [별표4], [별표4의2]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정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른 “모” 또는 “부”로서 아동인 자녀를 양육하는 사람 보건복지부에서 정한 아동분야 사업 중 소년소녀가정 지원대상에 해당하는 사람(「아동복지법」에 의한 가정위탁보호아동을 포함) · 지원제외 .. 2021. 9. 4.
주거환경개선 지원 주거급여(맞춤형급여) 1. 대상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45%(4인 기준 219만 4,331원) 이하 2. 내용 · 임차가구 : 지역 및 가족 수에 따라 산정한 기준임대료를 상한으로 수급자의 실제임차료 지원 ※ 임차급여 미지급 대상 - 신규 사용대차 가구 - 수급자가 1촌 직계 혈족 및 그 배우자와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경우 - 보장시설 수급자, 법령에 따라 제공된 거주시설 수급자, 가정위탁중인 입양대상 아동 · 자가가구 : 구조안전·설비·마감 등 주택 노후도를 평가(경·중·대 보수로 구분)하여 종합적인 주택개량 지원 구분 경보수 중보수 대보수 수선비용(주기) 457만 원(3년) 849만 원(5년) 1,241만 원(7년) ※ 장애인 자가가구 수급자 : 주거약자용 편의시설*을 380만 원 한도 내에서 .. 2021. 9. 4.
기존주택 일반 저소득층, 신혼부부, 청년 등 매입/전세임대주택 지원 기존주택 일반 저소득층·신혼부부·청년 등 매입임대주택 지원 1. 대상 대상별 가구소득 및 자산이 일정 기준 이하이며 세부 기준을 만족하는 사람 구분 지원대상 소득 및 자산 기준 일반 저소득층 매입임대 생계급여·의료급여 수급자, 한부모가족 등 무주택세대구성원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50% 이하 총자산 2억 1,500만 원 이하, 자동차 2,497만 원 이하 청년 매입임대 무주택자인 청년 (대학생, 취업준비생, 만19세~39세) 자격 순위별 소득 및 자산 기준 상이 (LH 및 지방도시공사 공고문 참조) 신혼부부 매입임대Ⅰ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 신혼부부(결혼 7년 이내), 예비신혼부부, 유자녀 가구(6세 이하 자녀)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80%(맞벌이 100%) 이하 총자산 2억 9,200만 원 이하, 자.. 2021. 9.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