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복지정보95

임산부 진료비 및 출산비 지원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1. 대상 · 난임진단을 받은 난임부부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준 중위소득 180%(2인 가족 건강보험료액 기준 직장 19만 1,093원, 지역 20만 980원) 이하인 가구 또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가구 2. 내용 체외수정(신선배아, 동결배아), 인공수정 시술비 중 일부본인부담금, 비급여 및 전액본인부담금을 1회당 신선 최대 110만원(7회), 동결 최대50만원(5회), 인공 최대30만원(5회) 총 17회(건강보험 적용 시술에 한해) 지원 3. 방법 · 보건소에 신청 · 정부24에서 신청 4. 문의 · 주소지 보건소 및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알려드립니다 난임부부의 심리적·정신적 고통 해소를 위한 심리 및 의료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상담문의 .. 2021. 9. 14.
고성 청년커뮤니티센터 입주자 모집(비거주자가능) 강원도 고성에서 청년커뮤니티센터 입주자를 모집하고 있다고 하여 포스팅해봅니다. 현재 고성에 거주하지 않고 있다고 하더라도 입주자로 선정된 후 3개월 이내에 주소지를 이전하면 된다고 합니다. 고성에서 까페 창업을 꿈꾸는 청년이라면 관심을 가지고 알아볼 만한 내용입니다. 고성군에서 공간을 제공하고 창업을 위한 준비과정을 돕는다고 하니 제가 청년이면 한 번 도전해 볼 만 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창업 전 실전 연습을 위한 창업공간 제공 - 창업공간 인테리어(가구, 주방기구, 주방용품 등) 지원 - 사업기간 중 창업 준비금 등 지원 - 필요시 창업 교육 및 전문가 컨설팅 지원 등 - 사업종료 후 창업시 창업자금 지원(대상자에 한함) - 접수기간 : 9. 6.(월) ~ 9. 30... 2021. 9. 12.
목돈마련지원(희망키움,내일키움,청년희망키움,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 희망키움통장(Ⅰ, Ⅱ) 1. 대상 구분 가입기준 I 유형 (기초수급자 대상) · 생계급여·의료급여 수급가구로 가구 전체의 총 근로·사업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40%의 60% 이상인 가구 · 재정지원일자리(자활근로, 공공근로 등) 및 사회적 일자리서비스 사업(노인·장애인일자리사업 등) 소득은 근로소득의 범위에서 제외 Ⅱ 유형 (차상위 대상) · 주거급여·교육급여 수급가구 및 차상위계층으로 가구 전체의 총 근로·사업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가구 · 현재 근로활동을 하고 있는 가구 2. 내용 구분 훈련비 지원율 I 유형 · 매월 1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근로소득장려금(가구소득에 비례한 일정비율) 지급 · 3년 이내 생계급여·의료급여수급자에서 벗어난 경우 적립금 전액 지급 Ⅱ유형 · 매월 10만 원 .. 2021. 9. 10.
허그일자리지원 프로그램 허그일자리지원 프로그램 1. 대상 만 18세 이상~만 64세 이하의 형사처분 또는 보호처분을 받은 사람으로 취업 희망자 ※ 위기 청소년은 만 15세 이상 2. 내용 개인별 취업활동계획에 따라 단계별 맞춤형 취업지원과 함께 각종 수당을 지급하는 통합 취업지원프로그램 (1단계) 취업설계 ▪심층상담 ▪직업심리검사 ▪집단상담 (12시간 참여) ▪취업활동계획수립 · 개인별 취업활동계획을 수립 시 최대 25만 원의 참여수당 지급 ※ 단, 출소예정자는 미지급 (2단계) 직업능력개발 개별 취업활동계획에 따른 취․창업교육 · 교육비 최대 300만 원 · 훈련참여지원수당 (월 최대 28만 4,000원) · 훈련장려금* (월 최대 11만 6,000원) (3단계) 취업성공 ▪취업정보 제공 ▪동행면접 ▪이력서․면접 클리닉 등 .. 2021. 9. 10.
자활근로, 정부지원일자리제공 자활근로 1. 대상 근로 능력이 있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중 희망자 2. 내용 자활근로사업단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참여자에게 인건비 지급 3. 방법 시군구청 및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방문 신청 4. 문의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알려드립니다 자활근로사업단이란? - 청소, 집수리, 재활용, 도시락사업 등의 기술을 습득해 취·창업을 이루는 사업단으로 전국 250개 지역자활센터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정부지원 일자리 제공 1. 대상 중앙부처, 지자체 일자리 지원 사업별로 상이하며, 장기 실업자 등 취업취약계층* 우선 지원 * 취업취약계층 : 저소득층, 6개월 이상 장기실업자, 여성가장, 장애인, 고령자(만 55세이상), 북한이탈주민, 결혼이주자 등 2. 내용 참여기간1년 미만의 일자리(중앙부.. 2021. 9. 10.
실업급여와 국민연금실업크레딧 실업급여 1. 대상 회사를 그만두기 이전 18개월 동안 180일 이상(예술인은 24개월 동안 9개월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하여 근무하고, 본인이 원하지 않았음에도 퇴사한 후 재취업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사람 · 회사 사정으로 인한 권고사직, 계약기간 만료, 사업장 휴·폐업 등 정당한 이직사유가 있는 경우에만 지원 가능 2. 내용 이직 당시 나이와 고용보험 가입기간에 따라 120~270일 간 이직 전 평균임금 60%(예술인은 이직 전 평균보수의 60%)의 구직급여 지급 ※ 단, 1일 상한액 6만 6,000원, 하한액 6만 120원(소정근로시간 8시간 기준) 3. 방법 · 퇴직 후 신분증을 지참하여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 신청 · 실업신고 및 수급자격 인정 신청(이직자) ⇨ 수급자격 처리 및 실업인.. 2021. 9. 10.
728x90
반응형